전체 글 183

플랫폼이란? (플랫폼의 종류와 네트워크, 다면 플랫폼의 특징)

기술플랫폼 : 개발자나 엔지니어가 활용하는 플랫폼 하드웨어 플랫폼 : 공산품화 과정에서 제품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나 개발을 지원하는 표준 공정 혹은 프로세스 (ex. suv자동차 플랫폼, 컴퓨터의 인텔 CPU 등.) 소프트웨어 플랫폼 : 응용 소프트웨어(ex.앱)을 실행 혹은 작동하게 하는 DOS, 윈도우, 안드로이드, iOS와 같은 운영체제 플랫폼들(OS플랫폼들)이 대표적이다. 서비스 플랫폼 : 웹과 앱 등의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용어가 등장. 다른 서비스들(ex.유튜브)이 나의 서비스(ex.1인 미디어 콘텐츠)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넷 기반의 기술 환경을 말한다. 비즈니스 플랫폼 : 서비스 플랫폼의 한 부분이자 서비스 플랫폼에서 파생된 용어. 내 비즈니스가 다른 비즈니스의..

트렌드 2021.01.09

ICT 생태계와 콘텐츠 산업의 특성

ICT 생태계는 CPND (컨텐츠,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 의 4요소가 서로 공진화하고 발전(공진화:한 생물집단이 진화하면 이와 관련된 생물 집단도 진화) CPND생태계 N screen 서비스 : 동일한 콘텐츠를 다양한 단말기에서 시청 (N screen: 여러개의 단말기) CPND 이 네가지가 잘 연계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ICT산업의 핵심 경쟁력이 됨. 애플의 아이폰을 등장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의 생태계가 나뉨 (이전에는 이동통신사가 플랫폼,콘텐츠에도 관여) 콘텐츠 산업의 특성1 :롱테일 법칙->하위의 80%에 의한 수익이 상위 20%에 의한 수익보다 더 크다는 이론으로서 역파레토 법칙이라고도 한다. (인터넷 비즈니스 특성) 이유 : 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서 상품을 전시하는 공간에 제한을 받지 ..

트렌드 2021.01.09

기념적인 첫 글

길고 긴 귀차니즘을 끊고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다. 사실 블로그를 개설한 건 3개월 전이었는데 역시 시작이 가장 어렵다 ㅜㅜ 대학교 1학년동안 정말 많은 활동들을 해왔는데 요즘에는 활동을 하는 것 뿐만 아니라 기록으로 남기는 것 또한 중요한 일임을 느낀다.. 최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앱을 만들어 보고있다. 확실히 나한테 개발은 적성에 맞는 부분이 많은 것 같다. 누가 시키지도 않은 일을 혼자 재밌어서 공부를 해가며 하는 모습은 내가 봐도 미친 것 같다. 조금 아쉬운 것은 만들고 있는 앱에 기능을 빨리 추가하고 싶은 마음이 앞서 공부한 내용, 삽질한 내용을 기록하고 정리하지 않은 것이다. 오늘부터라도 꾸준히 작성해봐야겠다. 그리고 그동안 공부해 정리했던 내용들도 업로드하고 틈틈히 다시 보며 공부해봐야겠다.

끄적끄적 2021.01.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