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집단 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 다수의 개체들이 서로 협력하여 얻게 되는 결과물
집단지성의 유형 : 지향성(목적 지향적 or 공동체적,오락지향적)과 구성원의 참여 크기(다수 or 소수)에 따라 분류
- 벌떼형 : 많은 사람들이 즐기면서 참여하는 공동체 지향적 집단지성 (ex. 위키피디아, 네이버지식인, 쇼핑몰 평가)
- 군중형 : 주어진 미션이나 목표가 뚜렷하여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다. (ex. 크라우드 소싱(기업들이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 및 생산 과정에 일반인들의 집단 지성을 활용하는 것))
- 난민형 : 비교적 소수가 참여하는 공동체 지향적인 프로젝트형 집단지성
- 벌통형 : 특정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비교적 소수의 집단지성 (ex. 공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소규모 그룹들)
사회 자본(Soicial Capital) 개념의 등장
- 한 개인에게는 없지만 그 개인이 참여하고 있는 사회적 관계를 통하여 다른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능력.
-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자본, 인적 자본과 달리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자본.
- 우리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무형의 자산.
- 도덕적 자본의 성격을 지니며 사용하면 사용할 수록 늘어난다.
- 사회 구성원들 간의 상호 신뢰를 통해 거래 비용의 감소(ex. 신용거래)를 가져오고, 공유된 제도, 규범, 네트워크(사회 연결망)을 통해 국가나 사회 공동체의 협력과 발전을 촉진한다.
ex) 사회 구성원 상호 간의 신뢰, 사회적 규범과 잘 확립된 사회 제도, 사람들 간의 끈끈한 사회적 연결망(네트워크)
——> 결론 : 개인 간의 협력을 촉진함으로서 사회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신뢰, 규범, 네트워크 등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일체의 무형자산
◦사회 자본 : 결속적 사회자본(Bonding Social Capital)
- 가족, 친구, 지인 등과 같이 비교적 동질적인 사회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연결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자원.
- 오프라인에서는 결속적 사회자본이 축적될 가능성이 크다.
◦사회 자본 : 연결적 사회자본(Bridging Social Capital)
- 사회적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각기 다른 배경을 지닌 개인들이 서로 간의 연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자원.
- 관계의 깊이보다는 관계의 넓이를 지향하는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개인 간의 네트워크에서 발생한다.
- 온라인 사이버 공간에서는 결속적 사회자본 뿐만아니라 이질적인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연결적 사회자본도 효과적으로 생성 및 유지 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전통적 농촌 지역 마을 공동체에서는 결속적 사회자본 못지않게 연결적 사회자본이 높게 나타난다. (마을 주민 총회 등 주민 의사결정 기구 등은 연결적 사회자본을 확충시켜주는 장치로서 작동)
특정지역이나 일부 집단 사이의 폐쇄적, 배타적, 고립적인 특성을 지닌 결속적 사회자본은 그 지역 내부 혹은 일부 집단 사이에서는 중요하지만 외부와의 교류, 공생, 외연의 확장에 장애나 방해가 될 수 있다.
◦사회 자본 : 사적 사회 자본
- 사회자본을 개인이 사회적 관계를 통해 활용가능한 자원으로 보는 관점으로서 개인이 사회적으로 연결된 양에 의하여 사회자본의 양이 결정된다고 보는 개인적 차원의 소수의 관점이다.
◦사회 자본 : 공적 사회 자본
- 공적 사회자본은 정부와 사법체계 등에 대한 신뢰와 참여 등을 뜻한다.
SNS는 사회자본의 형성에 기여한다.
반응형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 연결망이란? (사회연결망의 개념,뜻 / 사회 연결망 분석의 과정 및 주요요소들, 유형들) (0) | 2021.01.16 |
---|---|
5G 관련 주요 개념 정리 (네트워크, 유형, 특징, 초연결 사회) (0) | 2021.01.11 |
플랫폼이란? (플랫폼의 종류와 네트워크, 다면 플랫폼의 특징) (2) | 2021.01.09 |
ICT 생태계와 콘텐츠 산업의 특성 (2) | 2021.01.09 |